『측정의 역사』 정오표

  • 20쪽. 밑에서 4째 줄
    뜸부기 수명에 38을 곱해봐야
    → 뜸부기 수명에 3^8을 곱해봐야
    (허우주 님께서 알려주셨습니다.
    원서에는 제대로 표시되어 있는데 제가 위첨자 서식을 빼고 그냥 ‘38’로 표기했더군요.)
  • 41쪽. 밑에서 6째 줄
    신하 영륜伶倫를
    → 신하 영륜伶倫을
    (허우주 님께서 알려주셨습니다.
    원문에는 ‘a minister’라고 되어 있어서 처음에는 ‘신하를’으로 옮겼는데 관련 자료를 찾아 이름을 넣는 과정에서 어미를 고치지 못했군요.)
  • 69쪽. 6째 줄
    쿠마시**
    → 쿠마시*
    (허우주 님께서 알려주셨습니다.)
  • 95쪽. 2째 줄
    바스티유 감옥**
    → 바스티유 감옥*
    (허우주 님께서 알려주셨습니다.)
  • 166쪽. 4째 줄
    5센트 백동화를 다섯 개 쌓으면
    → 5센트 백동화를 다섯 개 이으면
    (허우주 님께서 알려주셨습니다.
    원문에는 ‘five nickels in a row’로 되어 있으니 동전을 한 줄로 ‘이어’놓은 것이 맞습니다. 제가 착각했네요.)
  • 227쪽. 4째 줄
    결과값를
    → 결과값을
    (허우주 님께서 알려주셨습니다.)
  • 228쪽. 11째 줄
    뉴턴적 세계관이 정점이 이르렀음을
    → 뉴턴적 세계관이 정점‘에’ 이르렀음을
    (허우주 님께서 알려주셨습니다.)
  • 285쪽. 14째 줄
    동위원소 존재비***
    → 동위원소 존재비(옮긴이 주가 누락되었음)
    (허우주 님께서 알려주셨습니다.
    원래는 “각 원소에 대하여 천연으로 존재하는 동위원소의 양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50349 참고”라고 주가 달려 있어야 하는데 누락된 듯합니다.)
  • 326쪽. 11장의 주 13에서
    줄스가 친구 브렛에게 프랑스 사람들이 쿼터파운더 치즈버거* ‘Royale with Cheese** 부르는 이유를 아느냐고 묻는다.
    → 줄스가 친구 브렛에게 프랑스 사람들이 쿼터파운더 치즈버거*를 ‘Royale with Cheese**’라고 부르는 이유를 아느냐고 묻는다.
    ※ 2012년 6월 12일에 발행된 초판 2쇄에서는 위의 오류를 모두 바로잡았습니다.
  • 15쪽. 8째 줄
    염주 알을 하나씩 땅에 떨어뜨리는 방법으로
    → 염주 알을 하나씩 넘기며
    (100보마다 염주 알을 하나씩 땅에 떨어뜨렸다면 하루에 염주 하나씩 버려야 했겠지요.
    원서에서는 ‘drop’으로 표현했는데 위키피디아에서는 ‘slip’이라는 단어를 썼더군요.)
  • 20쪽. 12째 줄
    개는 세 뜸부기보다 오래 살고
    말은 세 개보다 오래 살고
    칠면조는 세 말보다 오래 살고
    사슴은 세 칠면조보다 오래 살고
    독수리는 세 사슴보다 오래 살고
    주목은 세 독수리보다 오래 살고
    오래된 언덕은 세 주목보다 오래 산다네.

    뜸부기 셋이래봐야 개 하나
    개 셋이래봐야 말 하나
    말 셋이래봐야 칠면조 하나
    칠면조 셋이래봐야 독수리 하나
    독수리 셋이래봐야 주목 하나
    주목 셋이래봐야 오래된 언덕 하나.
    (작은 단위가 앞에 나오고 큰 단위가 뒤에 나오는 게 더 자연스러운 것 같네요.)
  • 93쪽 밑에서 둘째 줄, 116쪽 첫째 줄, 122쪽 셋째 줄에서
    크레이스퍼트 → 캐리스퍼트
    (※ 2013년 1월 11일에 발행된 초판 3쇄에서는 위의 오류를 바로잡았습니다.
    다만, 351쪽 찾아보기에 ‘크레이스퍼트 위원회’라는 오기가 그대로 남아 있는데 이것은 4쇄에서 바로잡겠습니다.)
  • 15쪽 밑에서 9째 줄에서
    옥수수 → 밀
  • 82쪽 셋째 줄과 넷째 줄에서
    옥수수밭 → 밀밭
  • 315쪽 밑에서 넷째 줄에서
    옥수수 → 밀 (http://sumbolon.blogspot.kr/2013/06/blog-post_1732.html에서 Pyong Son Chong 님이 지적해주셨습니다.
    이에 대한 제 의견은 「‘corn’과 ‘옥수수’」를 참고하세요.)
    위의 「‘corn’과 ‘옥수수’」(원래는 페이스북에 올라옴) 글에 Waga Jabal 님이 댓글을 달아 “corn은 밀이 아니라 곡식, 곡물을 포괄적으로 가리키는 말”이라고 알려주어 저자에게 다시 메일을 보냈는데, 저자가 친구 찰스 맨에게 확인하여 답장을 보내왔습니다.
    그에 따라:
    15쪽 밑에서 9째 줄의 ‘옥수수’는 미국의 사례를 언급한 것이므로 ‘밀’이 아니라 ‘옥수수’가 맞습니다.
    82쪽 셋째 줄과 넷째 줄의 ‘옥수수밭’은 ‘곡식밭’으로 수정합니다. 이 문장에서 ‘corn’은 일반적 곡물을 일컫습니다.
    315쪽 밑에서 넷째 줄의 ‘옥수수’는 영국의 사례를 언급한 것이므로 ‘곡물’로 수정합니다. 여기서는 밀이나 보리를 일컫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